진짜 나랏빚은 1985조 아닌 847조, 재정건전성 주요국 대비 양호

뉴스모아보기


진짜 나랏빚은 1985조 아닌 847조, 재정건전성 주요국 대비 양호

남영삼편집장

국가채무와 국가재무제표상 부채는 전혀 달라, 국가 부채 오해와 진실

 

2.jpg

[지난해 코로나19 위기 등으로 재정수지 적자를 기록했지만 우리나라의 재정건전성은 여전히 주요국 대비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사진: 연합뉴스)]


나랏빚 2000조 육박 GDP첫 추월, 재정건전성 적신호, 1인당 국가채무는 1635만원?’


지난 6일 기획재정부가 2020 회계연도 국가결산안을 발표한 이후 주요 언론들이 잇따라 지적하고 있는 문제들이다타이틀만 보면 정부가 대응을 잘못해 재정건전성에 심각한 문제가 생겼고국가부채가 급증한 것으로 자칫 오해를 불러일으 킬 수 있다


과연 사실일까기획재정부와 경제전문가들은 국가채무와 국가재무제표 상 부채는 전혀 다르며, 재정건전성은 여전히 주요국 대비 양호하며, 1인당 국가채무 계산법은 틀리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기재부의 공식 보도자료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로 사실관계를 확인해봤다


나랏빚 2000조 육박, GDP 첫 추월했다전혀 그렇지 않다 


지난 6일 기재부가 발표한 2020 회계연도 국가결산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가채무는 8469000억원이다. 이는 같은 해 명목 국내총생산(GDP) 19245000억원의 44% 수준이다. 그럼 나랏빚이 GDP를 추월했다는 계산은 어떻게 나온 것일까?


이날 정부는 국가재무제표 상 부채(국가부채)19853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그런데 일부 언론이 이를 두고 국가부채를 나랏빚으로 해석하면서 혼선이 야기됐다


기획재정부는 7일 보도자료를 통해 국가채무와 국가재무제표 상 부채는 전혀 다르다고 즉각 반박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국가부채는 국가와 지자체가 상환 의무가 있는 ‘확정부채(7176000억원)’비확정부채(12677000억원)’로 구성되는데, 비확정 부채에는 연금충당부채가 총 부채의 절반이 넘는(52.6%) 10447000억원이 포함돼 있다연금충당부채는 공직자·군인 재직자가 납부하는 연금보험료 수입으로 충당하므로 나라가 갚아야 할 국가채무와는 전혀 성격이 다르다고 밝혔다.

 

3.jpg


국가채무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채무를 합한 것으로 통상 나랏빚으로 부르고, 국가부채는 이같은 국가채무에 앞으로 줘야 할 공무원·군인 연금충당부채까지 포함한 것인만큼 재무제표상 부채를 나랏빚으로 표현해서는 안된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의 판단도 이와 다르지 않다


최배근 건국대 교수는 지난 6일 페이스북을 통해 채무는 주택담보대출금처럼 갚아야 하는 빚인 반면, 부채는 헬스장 연회비처럼 헬스장이 문을 닫기 전에는 돌려줄 필요가 없는 잠재적 채무’”라며 국가채무는 종래 발표한 대로 8469000억원이 맞다고 설명했다


재정 건전성 적신호가 켜졌다? 여전히 주요국 대비 양호한 수준


이상민 나라살림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지난 7‘2020년 결산안, 논점 3가지라는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우리나라는 재정수지 적자규모를 전세계 최고 수준으로 선방했다고 평가했다.


실제 국제통화기금(IMF) 재정수지 전망을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수지(일반정부수지) 적자비율은 -3.1%로 선진국 평균 -13.3%, 세계 평균 -11.8%보다도 훨씬 낮았다. , 세계각국이 코로나 대응을 위해 확장재정으로 전년에 비해 GDP10% 이상 재정적자를 본 반면 우리나라는 재정수지 적자비율이 선진국의 1/4, 세계평균의 1/3에 머물렀다. 이는 선진국들의 25% 수준의 재정 투입만으로도 코로나19 방역과 경제위기를 효과적으로 대응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연구위원은 “지난해 회계연도 결산을 보면 총 수입은 81000억원 증가하고 총 지출은 48000억원이 감소해 통합재정수지는 추경대비 -84조에서 -712000억원으로 개선됐다이는 지출 불용액이 증가해 개선된 통합재정 수지가 아니라 수입 증가로 인한 재정수지 개선이라는 긍정적인 의미가 있다고 진단했다


일반정부부채 증가 속도도 우리나라는 선진국 대비 느린편에 속한다. 전년대비 2020년 일반정부부채 변화 폭을 보면 우리나라는 6.2%포인트(41.9%48.1%)로 선진국 평균 17.9%포인트(104.8%122.7%), 세계 평균 14.1%포인트(83.5%97.6%)보다 작다.


기획재정부도 확장재정으로 인한 일시적 채무 증가를 감안하더라도 위기 조기극복과 경제 역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지난해 우리나라 실질성장률은 -1.0%로 미국(-3.5%), 일본(-4.8%), 독일(-5.0%), 프랑스(-8.2%), 영국(-9.9%) 등 주요국 대비 역성장폭을 최소화시켰고, OECD 등 국제기구도 우리나라의 확장재정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다만 국가채무의 빠른 증가속도와 중장기 재정여건 등을 감안해서 과감한 세출 구조조정, 탈루소득 과세 강화 등을 통해 재정건전성 관리 노력을 보다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4.jpg

[강승준 기재부 재정관리관이 지난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0회계연도 국가결산 결과 배경 브리핑에서 주요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1인당 국가채무는 1635만원이다? 아니다


일부 언론들은 지난해 1인당 국민들이 부담해야 할 채무가 1635만원으로 1년전 1409만원보다 200만원 이상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국가채무를 지난해 통계청 추계인구(5178만명)로 나눠 산출한 결과물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시각은 다르다.


이상민 연구위원은 “2020년 국가채무 8469000억원 중 정부가 발행한 국채 관련 채무는 8152000억원으로 국가채무에 대한 채권자의 85%가 국민이라며 예를 들어 내가 아들에게 100만원을 빌려줬다면 나는 채권을, 아들은 채무를 갖고 있는 것인데, 채권자와 채무자를 섞어 이를 2인 가구 1인당 부채 50만원이라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념 자체가 성립이 안된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를 풀어보면 국가가 국민에게 빌려서 국민을 위해 쓰는 돈인데, 이것을 ‘국민이 갚아야 할 빚이라고 부른셈이다


이 위원은 이어 “1인당 국가채무를 따져볼 땐 적자성 채무에 대해서만 계산해야지 채무총액을 단순히 인구수로 나누면 틀린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이와 같은 계산은 의미가 전혀 없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배근 교수도 이와 관련해 “1인당 국민 부담 채무는 8469000억원 중 61%518조로 1000만원에 불과하다반면 1인당 나라 자산은 4810<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

0 Comments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