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문, 고진수 박사 (가평연구원)] 가평군은 3~4년내 인구소멸 고위험 지역이 된다

칼럼



[기고문, 고진수 박사 (가평연구원)] 가평군은 3~4년내 인구소멸 고위험 지역이 된다

이효상
6b5b3ab0d729cfe6ab6a15f9f2041902_1694998356_4656.jpg
(사진. 가평연구원 고진수 박사)


우리나라의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난제는 지방의 인구소멸 위험이라고 볼 수 있다. 인구소멸성 수준을 가장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는 지표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인구소멸지수[(20~39세 여성인구)/(65세 이상 노인인구)]이다. 인구소멸위험은 인구소멸지수가 0.5~1.0이면 주의’, 0.2~0.5이면위험진입’, 0.2미만이면고위험으로 판단한다.


가평군은 2013년에 0.482로 처음 위험진입단계에 들어섰고 2022년에는 0.275고위험단계의 코 앞에 와 있다. 현재의 감소 추세가 지속된다면 3~4년 안에 가평군은 인구소멸 고위험단계에 들어선다


20229월 현재 전국에 인구소멸 고위험 시군은 49곳에 불과하다. 서울에서 1시간 이내 이동거리에 있는 수도권 지역 시군 가평군이 그 대열에 들어서는 것이다.

 

6b5b3ab0d729cfe6ab6a15f9f2041902_1694999597_9022.jpg
 


둘째는 재정자립도이다. 통상적으로 재정자립도가 50% 이상이면 안정적 재정상태로 보고, 30%이하이면 불안정적 재정상태로 인구소멸 위험이 높다고 본다


2022년도 현재 가평군은 16.8%이다. 전국평균이 45.3%, 경기도 시군 평균이 61.6%인 점을 감안하면 얼마나 낮은 수준인지 짐작이 간다. 경기도 내 시군 중에서는 동두천 13.1%, 연천 14.5%, 가평과 양평 16.8% 순으로 낮다.


지금까지 살펴본 두 가지 지표로 볼 때 누구나 가평군은 인구소멸 고위험지역에 편입되기 직전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황이 급박하고 심각한 만큼 대책은 당연히 그에 상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인구문제는 너무 많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단순하고 명쾌한 대책을 수립해 운용하기는 매우 어렵다


이미 살펴본 단순 지표를 통해 우리는 가평군 인구정책의 기본방향을 개략적으로나마 짚어 볼 수는 있다.

   

첫째, 인구를 증가시켜야 한다. 가평군 인구는 2017년 말 62,973명까지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여 2022년 말 현재 62,150명이다. 생산연령인구 비율은 202263.2%에서 203748.8%로 감소하고, 노인 인구 비율은 202227.4%에서 203744.8%로 증가할 전망이다(경기도 장례 인구추계, 2017). 


전체 인구가 유지 또는 감소하는 상태에서 생산연령인구가 급감하고 노인 인구가 급증한다면 재정자립도는 급격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재정자립도가 더 떨어지면 지역경제 발전과 지역주민 생활개선 등 자체적인 정책 수립과 운영은 불가능해진다. 가평군이 인구를 증가시켜야 하는 이유이다


그렇다고 불가능한 인구증가 목표를 수립해서는 안 된다. 2019년에 확정된 ‘2035년 가평군 기본계획상 계획인구는 202067,915, 202575,798, 2035100,104명으로 큰 폭의 증가로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가평군 실제 인구는 계속 감소하는 추세이고, 2020년 실제 인구도 계획인구보다  5 명 이상 적다. 이제 실현 가능한 목표와 수단을 다시 설정하여야 한다.

 

둘째, 정주 인구증가를 위해 자연인구 증가보다는 사회인구 증가에 집중하여야 한다. 가평군의 출산율은 20141.251에서 20220.810으로 떨어졌다


2022년 전국평균 0.780보다는 높지만, 경기도 평균 0.840보다도 낮다. 출생아 수는 2014366명에서 2022년에는 200명으로 떨어졌고 사망자 수는 2012519명에서 2021640명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인구 자연 중가(출생아 수-사망자 수)2014153명에서 2021398명이 되었다. 국가 차원에서 저출산 해결에 2006년부터 2020년까지 380조 원을 투입하고도 세계 최고의 초저출산율을 기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물며 기초지자체 차원에서 적은 예산으로 다른 지자체와 유사한 수단을 동원해 출산율 제고 대책을 시행한들 얼마나 정책 효과를 거둘 수 있을까?


6b5b3ab0d729cfe6ab6a15f9f2041902_1694999636_5731.jpg


인구소멸 고위험에 내몰리는 가평군 입장에서는 당연히 사회인구 증가에 매진하여야 한다


그래서 2035년 가평군 기본계획에서도 자연인구는 감소하되 사회인구를 대폭 증가시킨다고 계획하였다. 물론 동 기본계획상 사회인구 증가요인으로 제기한 택지 및 산업단지 개발, 주택건설사업 승인 등을 면밀히 재검토해 타당하고 실효성 있게 수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셋째 청장년 인구 유입에 최우선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가평군 전체의 순 이동(총 전입-총전출)2019년을 제외하고 플러스(+)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청년(20~34)의 순 이동은 대부분 마이너스(-)를 보여 왔다.  


6b5b3ab0d729cfe6ab6a15f9f2041902_1694999705_2115.jpg


청장년 인구가 증가해야 경제활동이 증가하고 세수도 증가한다. 물론 자연인구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렇게 하려면 일자리와 자녀교육 문제가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규제를 뛰어넘는 친환경산업(첨단 ICT, 교육훈련, 환경, 관광 등)의 유치와 재택 및 이동 근무가 가능한 교육복지 중심의 친환경 스마트 시티를 구축한 강소도시가 모델이 될 수 있다.


넷째, 사안의 중요성과 시급성에 비추어 가평군 전체가 총력적으로 인구대책을 추진할 수 있는 인적물적 지원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그를 위해 조례제정도 서둘러야 한다.

 

어떻든 가평군의 인구정책은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세워서 적은 가용자원과 수단으로 전략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매우 어렵지만, 반드시 해내야 한다.

0 Comments